과학과는 무관한 청중이 모인 곳, 예컨대 어린이 도서관이라든지 경영자 조찬 모임 같은 곳에서 양자컴퓨터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으면 “우리 세상을 지배하는 자연법칙과는 다른 법칙에 따라 돌아가는 세상의 컴퓨터인데, 병렬처리를 잘하기 때문에 수퍼컴퓨터보다 빠르다”라고 답하곤 한다. 병렬처리란 흔히 말하는 멀티태스킹을 의미한다.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학생 100명의 성적을 평균 내려 한다면 우선 100개의 숫자를 다 더해야 하는데, 나 혼자 더하는 것보다는 조교 4명을 불러서 5명이 같이 20개씩 나누어서 더하고 나중에 5개의 숫자만 한 번 더 더하면 거의 5배 빠르게 할 수 있다. 위의 양자컴퓨터 설명에 어려운 말은 없지만, 그 대신 이렇게 두루뭉술한 정의를 듣고서는 양자컴퓨터가 어떤 것인지 감을 잡기 어려울 것이다. 대학교에서 물리화학을 수강하느라 고생 좀 해본 사람이라면 여기서 말하는 ‘우리와는 다른 세상’이 원자들이 존재하는 미시세계를 뜻하며, ‘우리 세상의 법칙과는 다른 법칙’이 양자물리를 의미함을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병렬처리를 잘하면 효율적인 알고리듬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데이터 검색이다. 우리가 새로운 웹사이트에 가입하려 하면 대문자, 소문자, 특수 기호, 숫자 모두 섞어서 8자 이상으로 패스워드를 만들라는 주문이 짜증 나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만들 수 있는 패스워드의 경우 수는 약 7경 개 정도 된다. 이 패스워드를 모를 때 무식하게 해킹을 시도해 본다고 하자. 일 초에 백만 개의 숫자를 무작위로 집어넣어 본다면 해킹이 될 때까지 약 2300년 정도 걸린다. 그런데 같은 일을 양자컴퓨터를 써서 병렬처리 하면 약 4분에 해결된다. 내 은행 계좌를 누군가가 해킹하려고 할 때 2000년이 넘게 걸린다고 하면 걱정이 되지 않지만 4분에 된다고 하면 문제는 완전히 달라진다.
원자들이 사는 미시세계의 운행규칙은 우리 세상과 다르기 때문에 그 세상의 모습도 다르며 그 세상을 경험해 보지 않은 우리는 그 세상 이야기를 들어도 이해할 수가 없다. 예컨대 양자컴퓨터가 병렬처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양자 세계의 중첩현상은 우리 세상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므로 경험해 보지 않은 우리는 이해할 수가 없다. 우리가 양자 세계의 이야기를 들을 때 느끼는 인지부조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만든 유명한 표현이 ’고양이가 죽은 상태와 살아있는 상태가 중첩되어 있다‘라는 것인데, 이 말이 이해가 된다면 어찌 제정신이라 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현상과 개념에 기반을 두고 개발된 것이 양자컴퓨터이기 때문에 공상과학같이 들리는 것이다. 양자물리나 양자컴퓨터 이야기를 들을 때는 이해하려 하지 말고 그냥 공상과학을 즐기겠다는 심정으로 듣는 것이 좋다. 마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읽을 때 말하는 고양이, 말하는 토끼가 이해되지 않지만, 그냥 받아들이고 스토리를 즐기는 것처럼.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면서 이해되지 않는 것이 양자역학뿐이겠는가?